어디선가 날아온 씨앗이 뿌리를 내리고 성장한다.


어떤 식물인지 궁금하여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다.

-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다 자라도 키가 10~20cm 이다.
- 병충해에 강하고 재생력이 강하다.
- 다년간 성장하여 무리를 이루는 토양 표층을 '때'라 하고 주로 마당, 정원, 묘지 등에 조경용으로 사용한다.
- 이 식물이 넓게 조성된 지역을 보통 ‘~밭’이라 부른다.

이 식물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바로 ‘잔디’이다.


‘잔디’는 환경오염에 강하고 병충해가 거의 없고 무엇보다 보리밟기에 강하여 축구장, 공원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잔디를 까는 것일까?
잡초를 성장을 억제하고 보기에도 좋고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제일 중요한 이유는 잔디밭에 앉거나 밟거나 뛰어 놀기 위해서 아닐까?

 

위의 사진은 불광천에 있는 많이 보이는 푯말로 “잔디를 보호합시다”라고 적혀 있다.
요즘은 많이 없어졌지만 예전에는 많이 보였던 푯말이다.

 

 


▲ 자전거 도로와 보행로를 구분하는 저 좁은 긴 공간에 누군가가 관상용으로 심었다면 상식적으로 꽃을 심지, 잔디를 심지 않을 것이다.


아마도, 저 잔디는 멸종위기 품종인 잔디가 자생적으로 서식하면서 잔디밭을 이루었고 이를 발견한 ‘은평구시설관리공단’이 멸종위기 품종을 보호하기 위해서 푯말을 세우지 않았나 생각된다.

 

이렇게 귀한 잔디를 달랑 푯말 하나로 보호 할 수 있을까?
사방에 말뚝을 박고 줄로 연결하여 사람과 동물이 못 들어가게 차단하는 것은 어떨까?
그것도 불안하면 높은 담벼락을 세우는 것은?
햇빛이 안 들어 잔디의 성장에 문제가 될 것 같으면 유리 같은 투명한 재료의 담벼락은?

 

그보다는 확실하게 다른 곳으로 이식해서 심고 지자체에서 ‘잔디 보호구역’을 지정하여 사람을 통제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 저 공간에 잡초가 자랄 수 있게 두거나 맘껏 밟을 수 있는 인조 잔디를 깔아서 시민들에게 돌려주자.
안전상 자전거와 보행자의 충돌 사고가 걱정된다면 두 공간을 분리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 해야지 보호해야할 식물을 이러 곳에 쓰는 건 이제 그만하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