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집이나, 회사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합니다.

인터넷 회선을 한 대의 기기에만 사용하던 시대는 오래전에 끝났고 대부분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IPTV 등 여러 기기에서 같이 사용하기 위해서 무선 인터넷 공유기를 사용 하고 있을 겁니다.


하지만 집이나 사무실 또는 영업 장소가 넓거나 무선 공유기 설치 위치와 실제 사용 위치 사이에 콘크리트 벽이 있다면, 전파 도달 거리가 확 줄어 WiFi 신호가 계속 끊기거나 안 잡힐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WiFi 신호를 중간에서 증폭해주는 기기인 '무선확장기'입니다.


오늘은 EFM-Networks ipTIME Extender N3 무선확장기를 소개해봅니다.


▲ 무선 확장기 박스입니다.

고맙게도 이에프엠에서 2017년 탁상 달력까지 같이 보내주셨네요.

홈페이지에 2016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아이타임을 구매하시는 분들에게 수량 한정 선착순으로 탁상용 달력을 준다고 나와 있습니다.

달력의 굵은 선으로 그려진 공유기 모델마다 특징을 잘 살린 일러스트에서 N3와 비슷한 그림을 찾아 같이 찍어 봤습니다.


 박스 옆면에는 제품의 사양이 적혀 있습니다.

무선 제품이다 보니 제일 중요하게 봐야 할 것이 지원하는 WiFi 규격입니다.

모델명인 N3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모델은 11n을 지원하므로 WiFi 주파수 5GHz 대역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역시 “11n WiFi 영역 확장 / 2.4GHz 2Tx-2Rx 300Mbps”로 표시되어 있네요.


 아이피타임 이전 제품에서는 못 보던 봉인 씰이 붙어 있습니다.

요즘 대부분의 전자 제품에는 당연히 붙여 있죠.  깔끔하게 칼로 자르고 박스를 개봉합니다.


 짜잔….

많이 보던 골판지로 튼튼하게 재활용할 수 있게 만든 포장 방식. 요즘 사오미나 여러 제품에서 이런 포장 방식을 사용하죠.


 박스에서 제품을 꺼내봅니다.

막 집어 던져도 제품에 흠집 하나 없을 것 같아 좋습니다.

그 옆에 보이는 종이는 iptime만의 전통이 되어버린 것 같은 심플한 한 장의 제품 설명서입니다.


 사용 설명서를 쭈우우욱~~~ 펼쳐봤습니다.

양면으로 되어있는 한 장으로 가운데 A4지를 보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죠.


 골판지 안의 제품 포장 상태입니다.

두개의 안테나가 양팔을 모으고 차려 자세로 서 있는 것 같죠.


 양팔(안테나)을 돌려 볼까요?

왼쪽 사진 상태에서 한 바퀴 돌렸을 때 270도 이상 회전 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대단하죠?  이 제품만 그런 것이 아니고 아이피타임의 다른 제품도 비슷한 회전각을 보입니다.


 안테나의 수신율을 생각하면 공유기와 같은 방향으로 11자로 세우는게 좋겠지만 

그래도 뭐니 뭐니 해도 더듬이(안테나)는 V형이 최고죠!


 오른쪽 면을 보면 랜 포트가 한 개 있고 그 옆에 RST(Reset) 버튼이 있습니다.

리셋 버튼은 손으로 누를 수 없고 뾰족한 것으로 눌러야 됩니다.


 왼편에는 공유기와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WPS 버튼이 보입니다.


 뒷면은 220V 콘센트에 바로 꽂을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안테나 중간에 구멍이 있고 그 밑에 ‘3 color LED’라고 쓰여 있네요

구멍에는 상태를 3가지 색으로 나타내는 LED가 있습니다.


 무선 확장기를 설치하기 전에 집 구조를 보겠습니다.

현재 무선 환경은 12시 방향인 거실 냉장고 위에 공유기 있고 실제 사용은 10시 방향의 침실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중간에 주방 콘크리트로 있고 침실 방문을 받으면 신호가 조금 약해지거나 방 위치에 따라서 무선 인터넷이 끊길 때도 있습니다.


여기에 6시 방향에 무선 확장기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무선 확장기 설치 위치해서 바라본 공유기와 주 사용장소인 측정 장소입니다.


 공유기는 꼬맹이 손을 피해 임시로 냉장고 위에 올려놓은 것인데 그냥 그대로 자기 자리가 되어 버렸습니다.

공유기 모델은 ipTIME N8004R로 유선 기기비트와 2.4Ghz, 5Ghz 를 지원합니다.

안테나는 4개를 수직으로 세워 놓는게 좋습니다. 

두 제품이 같은 제조사라 완벽한 궁합을 보여줄 것이라 예상합니다.  문제가 있으면 공유기 펌웨어를 최신으로 업그레이드하면 대부분 해결될 것입니다.

아이피타임의 최대의 장점이 지속적인 펌웨어 업그레이드로 버그 및 기능 추가를 해준다는 점이죠.  공유기가 됐건 NAS가 됐건 새로운 기능이 지속적으로 추가 됩니다.


 공유기를 세팅을 위해 잠시 원래 위치인 TV 옆으로 내립니다. 

공유기에는 기가비트 속도가 필요한 NAS와 노트북 그리고 고정 아이피가 필요한 라즈베리 파이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스마트폰, 태블릿, 맥북은 무선으로 연결합니다.


 무선 확장기 N3를 연결을 편하게 하려고 공유기 옆에 설치합니다.

공유기 상단 비닐에는 "스크래치 방지용 필름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본 필름을 제거 후 사용하세요." 라고 써 있지만 그냥 쓰고 있었습니다.  공유기 뒤에 셋톱 박스에도 똑같이 비닐의 그대로 있군요.  하지만 발열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꼭 비닐을 제거하고 사용하세요



무선 확장기를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WPS 버튼으로 WiFi 확장하기

2. 안드로이드 모바일 간편 설정으로 확장하기

3. 안드로이드 APP으로 확장하기

4. iOS 모바일 간편 설정으로 확장하기

5. iOS APP으로 확장하기

6. 관리도구 설정으로 WiFI 확장하기


여러 가지 방법 중 이라이더는 가장 쉬워 보이는 1번 WPS 버튼으로 연결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라이더는 WPS로 공유기대 공유기, 공유기대 무선 프린터 연결을 시도 했었으나 한번도 성공해보지 못해서 제일 어렵게 느끼는 방법입니다. 그래서 항상 6번 관리도구 같은 수동방법으로 연결했었습니다.


 공유기의 뒷면을 보면 RST/WPS 겸용 버튼이 보입니다.

모든 기기의 매뉴얼을 읽어봐도 WPS는 버튼만 두 번 누르면 연결 된다고 나와 있습니다.

처음에 공유기의 WPS 버튼을 누릅니다.  그리고 이어서 연결하려고 하는 제품의 WPS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ipTime 제품들은 2분내로 두번째 버튼을 누르면 된다는군요.


 무선 확장기에도 WPS 버튼이 보입니다.



 WPS 연결하는 방법을 2번 만에 성공하여 동영상으로 찍어 봤습니다.

1. 공유기의 WPS 버튼을 누릅니다.

2. 확장기의 LED가 빨간색으로 천천히 깜빡이고 있습니다.

3. 확장기의 WPS 버튼을 누릅니다.

4. 확장기의 LED가 파란색으로 바뀌면서 빠르게 깜빡입니다.

5. 약 20초 정도 기다리면 LED가 파란색으로 계속 켜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LED의 동작 상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파란색 켜짐 : 확장된 AP로 연결됨 (신호 강함)
보라색 켜짐 : 확장된 AP로 연결됨 (신호 양호함)
빨간색 켜짐 : 확장된 AP로 연결됨 (신호 약함) 또는 부팅 중

빨간색 천천히 깜박임 : 부팅 완료 (확정 전)
빨간색 빠르게 깜빡임 : 초기화 중 (RST 버튼 10초 이상 누른 상태)
파란색 천천히 깜빡임 : 확장된 AP로 연결 시도 중
파란색 빠르게 깜빡임 : WPS로 연결 시도 중(WPS 누른 상태)



 이렇게 공유기와 확장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확장기를 원하는 곳에 배치하면 됩니다.

배치를 가정하고 확장기의 전원을 Off 하면 LED의 파란 불이 꺼지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다시 전원을 On 하면 빨간불이 한참 켜져 있다가 파란불로 변경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치했는데 다른 공유기와 연결을 해야 한다면 확장기를 리셋시키고 다시 연결해야 합니다.  리셋 시키는 방법은 리셋 버튼을 10초 이상 누르면 됩니다.

동영상으로 보시죠.


 무선 확장기의 성능을 확인해볼 차례입니다.

집이 좁아서 공유기만으로도 작은방 책상까지는 어느 정도 커버가 되는 상황이지만 전파가 약하다는 가정하에 테스트를 진행하기로 합니다.

일단 공유기인 N8004R 관리도구로 접속하여 2.4GHz, 5GHz 송신 파워를 100%에서 50%로 낮춥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이라이더는 이쯤 진행했을 때 한 가지 의문점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무선 확장기에 유선 랜 포트가 왜 있을까?" 하는 것이죠.


사실 확장기라고 소개했지만 예전부터 이런 용도로는 무선 공유기 2대를 연결해서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무선 확장기에 유선 포트까지 있으면 일반 무선 인터넷 공유기와 같은 제품 아니냐? 하는 것이였습니다.


 이런 의문은 아이피타임 익스텐더 N3 무선 와이파이 확장기의 ‘웹 관리도구(웹으로 접속하여 증폭기의 설정을 관리하는 도구: ipTIME 모든 제품의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제공됨)’의 익스텐더 설정, 동작모드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동작모드는 3가지 있습니다.

1. 무선익스텐더(AP mode + Client) : 확장기 기능입니다.

2. 무선 Client (Client mode) : 무선 랜카드 기능입니다. 유선 랜 포트로 다른 기기를 연결하면 무선으로 인터넷을 할 수 있습니다.

3. 무선AP (Access Point mode) : 무선 공유기 기능을 합니다. 유선 랜 포트에 인터넷 선을 연결하면 무선 공유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 마디로 무선 인터넷 공유기와 같거나 무선 중계기, 무선 랜 카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 작은방 책상에 스마트폰과 맥북을 올려놓고 속도 측정을 해봅니다.


 스마트폰의 와이파이 신호 세기입니다. 공유기의 주파수 2.4GHz와 5GHz 중 2.4기가만 쓰도록 하겠습니다.

무선 공유기의 신호 강도를 50% 낮춰 놓아서 와이파이 안테나가 1칸만 들어 옵니다.

스마트폰에서 신호 강도를 숫자로 확인할 수 있는데 -79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책상에 스마트폰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공유기 속도 측정을 시작합니다.


 이번에는 무선 증폭기를 동작시킵니다.

신호가 양호하다는 파란색이 들어 와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2.4Ghz 안테나가 풀로 차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신호 강도는 -40으로 이전 -79에 비해서 확실히 좋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제품은 5GHz는 확장하지 않으므로 5기가 주파수 안테나는 그대로 1~2칸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속도를 볼까요?


속도 측정은 벤치비 앱을 이용하여 연속으로 각각 5번씩 측정했습니다.

왼쪽이 5개가 공유기이고 오른쪽 5개가 와이파이 확장기 입니다.

너무 수치가 낮거나 높은 값은 빼고 보더라도 차이가 보이나요?


다운로드는 공유기가 10Mbps, 확장기가 25Mbps로 높습니다.

업로드는 공유기가 편차가 심한 것에 비해 확장기는 평균 20Mbps 정도로 비교적 안정적입니다.

ping은 양쪽 다 편차가 심해서 무시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는 맥북(노트북)에서 공유기 속도입니다.

다운로드 52.65Mbps / 업로드 24.88Mbps / 지연시간 16.97ms


 맥북(노트북)에서 무선 확장기 속도입니다.

다운로드 54.45Mbps / 업로드 30.76Mbps / 지연시간 3.69ms

확장기가 속도도 조금 더 빠르고 지연시간이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

1. 무선 확장기는 쉽게 연결하고 설치가 간편하고 저렴한 가격에 와이파이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2. 무선 확장기는 무선 확장기, 무선 공유기, 무선 랜카드 3가지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WPS를 처음으로 성공해서 기쁘다. 다른 기기 연결에도 자주 시도해 봐야겠다.

4. 듀얼 주파수를 사용하는 공유기는 무선 확장기 중 AC 모델을 사자.



"이 사용기는 이에프엠네트웍스와(과) 다나와 체험단을 통해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