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를 하다가 중요한 부분을 자필로 독서 노트에 적고 있는데 그 중 공유하고 싶은 내용을 정리하여 포스팅 합니다..


스트레스는 홈즈와 레이(Holmes & Rahe, 1967)의 사회 재적응 평가 척도(SSRS)에 의하면 생활상 변화에 의해 생긴다고 한다.

이를 측정하는 단위로 LCU(Life Change Unit : 생활변화 스트레스)를 사용하는데 이 순위 중 제일 높은 수치는 배우자의 사망이라고 합니다.

이 연구가 1967년 발표되어 시간적인 가치관 변화와 한국과의 문화적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시대적, 문화적 변화에 따라 SSRS 척도를 참고하여 다시 발표 하고 있습니다.
1988년 일본의 나츠메는 '회사의 도산'이 배우자의 사망과 같은 정도의 스트레스라는 발표도 있었죠.
일본의 고도성장기가 끝남에 따라 회사가 폐업하거나 종신고용이 없어지는 것을 반영한 수치이죠


이렇게 현재 시점과는 LCU 값이 다르겠지만 그래도 원래 수치를
소개해 봅니다.


 번호

사건

LCU 

1

배우자의 사망

100 

2

이혼 

73 

3

부부 별거 생활

65 

4

구류

63 

5

친척의 사망

63 

6

개인의 사고나 병 

53 

7

결혼

50 

8

해고, 실업 

47 

9

부부 화해, 조정 

45 

10

퇴직 

45 

11

가족의 건강 변화

44 

12

임신 

40 

13

성적 장해 

39 

14

가족 구성원의 증가 

39 

15

업무 조정 

39 

16

경제 상태의 큰 변화 

38 

17

친구의 사망 

37 

18

전직 

36 

19

배우자와의 관계 

35 

20

1,000만원 이상의 대출 

31 

21

담보 대출금의 손실 

30 

22

업무상 책임의 변화 

29 

23

자녀 별거

29

24

친척과의 트러블

29 

25

개인의 성공 

28 

26

부인의 추직이나 이직 

26 

27

취학 졸업 

26 

28

생활 조건의 변화

25 

29

개인적 관습의 수정 

24 

30

상사와의 트러블 

23 

31

노동 조건의 변화 

20 

32

주거의 변경 

20 

33

전학 

20 

34

레크리에이션의 변화

19 

35

교회 활동의 변화 

19 

36

사회 활동의 변화 

18 

37

1,000만원 이하의 대출 

17 

38

수면 관습의 변화 

16 

39

단란한 가족 수의 변화 

15 

40

식습관의 변화 

15 

41

휴가 

13 

42

크리스마스 

12 

43

위법 행위 

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