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작정 도록] 용산 이촌역 국립한글박물관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용산 이촌역에서 내리면 국립중앙박물관 옆 ‘국립한글박물관’이 있어요

1443년 세종대왕이 창제하신 “훈민정음(한글)”에 대해서 알아봐요


국립한글박물관 설명에는 없지만 참고로 적으면
세종실록에
“세종 25년(계해년) 경술일(12월 30일) 주상께서 친히 언문 28자를 창제하였는데…
이것을 일러 훈민정음이라 하였다”라고 해요



자동차로 가시는 분은 주차장 요금 확인하시고요
주차 요금 상세 페이지는 밑의 홈페이지 링크 눌러보세요
홈페이지 주차 안내  <= 여기 누르세요

주차장 이용 시간
월~금, 일요일: 09:30~18:30
토요일, 문화가 있는 날(매 달 마지막 수요일): 09:30~21:30



한글이 없던 시대에는 한자의 음과 뜻을 활용해서
표기하는 차자 표기법으로 이두, 향찰, 구결 등을 썼다네요



차자 표기(글자를 빌려 씀)는
초기에 주로 인명이나 지명과 같은
고유 명사를 표기하는데 사용했다네요



이두는 한자의 음과 뜻을 이용하여 우리말의 어순대로 문장을 표기한것이라네요
실제 예와 설명이 있어서 어떻게 사용했는지 알 수 있죠



향찰은 우리말의 문법 요소뿐 아니라 어휘까지도 한자를 빌려 나타낸다네요
예를 잘 보면 알수 있어요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의미예요
그런데 “훈민정음”은 두가지를 가리키는 말이라네요

하나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세종대왕이 만든 문자이고
두번째는 1446년에 간행된 책을 가리키는 것이라네요

책은 훈민정은(한문본)과 훈민정음(언해본) 나눠지고
한문본은 한글의 원리와 문자에 대한 설명과 예시가 포함되어 있어서
일반적으로 훈민정음(해례본)이라고도 부르네요

뉴스에 존재하냐 마냐?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냐?로 말이 많던
상주 훈민정음 해례본이 이것인가 보네요



누구나 다 알다시피 훈민정음은 총 28자~



훈민정음 해례편 3장 뒷편에 보면
다음과 같이 초성(ㄱ, ㄷ, ㅂ …)을 소개하고 있고
23자라고 명시하고 있어요



복잡하니까 쉽게 정리해봤어요

컴퓨터로 입력이 안되는 고어라서 손글씨로 써봤습니다.
초성 23자 + 중성 11자 = 34자
네. 세종대왕이 만든 글자는 적어도 34자여요

거기에 지금은 쓰지 않는
훈민정음 해례의 된소리 초성 4자,
훈민정음 언해본의 직병렬 연결글자 4자
이정도 까지만 합해도 모두 42자 네요

그런데 왜 세종대왕은 28자를 만들었다고 했을까요?

그건 초성에서 중복된 “ㄲ, ㄸ, ㅃ, ㅉ”같은 글자는 제외했기 때문이여요



훈민정음 해례본에 한글의 발음과 운용방식, 제자 원리 및 예시에
대해 자세한 설명이 있네요



한글의 발음 제자 원리중 발음에 대한 원리여요



모음을 이용해서 글자를 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예요



발음 기관을 닮은 자음
저 당시에 어떻게 저런걸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만들 생각을 했을지…
대부분의 문자가 자연적으로 생겨서 발전한데 비해
한글은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든 문자로 유일하지 않을까 싶네요



영상으로도 한글을 만나 볼수 있어요



교과서에서만 봤던 “용비어천가”예요



김동인의 감자라는 책도 있어요

책 제목이자 복녀가 훔치는 “감자”를 현대어로 바꾸면 “고구마”죠
(작가가 고구마라고 했고 1935년 단행본에서 감자와 고구마를 병기하기도 했음)

현재 감자와 고구마를 구별해서 표기하지만
저때는 별도 구별없이 감자라고 불렀어요
(일부는 현재 감자를 ‘하지 감자’라고 구별해서 부르기도 했음)

사실은 한자로 고구마는 甘藷(감져), 감자라고 써요
현재 우리가 감자라고 부르는것은 马铃薯(마령서)나 다른 단어로 쓰고요
감자를 감자라고 부르지 못하고 고구마라 부르게 된 사연은 일본의 영향이 있죠



 춘향전의 여러 버전



 한글은 가로쓰기와 세로쓰기가 모두 가능하지만
현재는 가로쓰기가 대부분이죠

오른쪽의 “젼쥬ㅣ팟츄ㅣ콩”이 뭔가 한참 쳐다 봤는데 세로쓰기네요.
가로쓰기와 현대어로 바꾸면 “콩쥐팥쥐전” 이네요






 국어 교과서의 변천 과정이예요
어떤 교과서로 공부했는지 찾아보는 재미가 있죠


 전시관 내부 전경


 옛날 인쇄는 이렇게 활판 인쇄를 했어요


 이게 활자이고 먹이나 잉크를 발라서 종이 찍으면 되죠


 그러다 활판을 조합해 즉석해서 인쇄를 할 수 있는 타자기가 나와요
대량 인쇄는 못하지만 한장의 문서를 작성할때는 딱이죠


 사연도 많은 한글 자판이여요
여러가지 방식이 있었지만
현재는 2벌식 쿼티 자판으로 평정됐어요


 그러다 새로운 기계인 컴퓨터가 나왔네요
또 한글 표기하는 방법으로 시끄러워져요


 초창기 컴퓨터는 조합형이 대세였어요
한글 한 글자를 2바이트 16비트로 표현하고
첫비트는 1로 고정,
앞 5비트는 초성,
그 다음 5비트는 중성,
마지막 5비트는 종성
이렇게 적은 공간으로 한글을 표현할 수 있었어요



 이렇게 깔끔하게 대부분의 한글을 표현할 수 있었죠


 그런데 정부에서 완성형을 표준으로 채택해 버렸어요
왜 그랬는지는 아직도 의문임


 완성형은 현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2,350자만 사용할 수 있었어요
즉, 컴퓨터로 입력을 안되는 한글이 생겼어요

후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우98에 추가로 한글을 할당했죠


 완성형은 미리 정해진 코드값에는 정해진 글자가 할당 되었어요
코드가 없는 한글은 입력할 수 없어요



 현재는 유니코드(Uni code)가 대세죠
유니코드에도 한글자를 몇 바이트로 할것이냐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지만
한글 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대부분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어요
(이집트 상형문자 이런건 없겠죠~)



 깔끔한 유니코드





 기획 전시회 “명필을 꿈꾸다”


 한글놀이터
권장 연령은 6~9세 어린이



















 기획전 “사전의 재발견”
시대순으로 단어들이 어떻게 바뀌고 분할 되었는지 잘 보여줘요


 그 시대에 유행했던 단어들
1920~30년대는 “모던보이”가 유행했나보네요
미스터 션샤인이 생각나네

 

 1990년대 “신세대와 X세대”


 국내에서 직접 설계하고 생산한 최초의 라디오인 “금성라디오”
현재 LG전자죠

실물을 직접 보게 될줄이야…
국립민속박물관 소장품이네요


 금성 텔레비전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소장

둘다 다른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것을
기획전을 위해 잠시 빌려왔네요




 밖 별관에서는 집에서 가져온 음식을 자유롭게 먹을수 있어요


 옆으로 살짝 돌아가면 국립중앙박물관이 나오는것 아시죠?

#한글 #훈민정음 #세종대왕 #국립박물관 #한글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댓글 남기기